본문 바로가기
유데미 스프링

스프링 용어 정리

by hoshi03 2024. 2. 25.

@Component 어노테이션

 

컴포넌트를 스캔할때 @Component가 붙은 클래스는 인스턴스가 생성되서 스프링이 관리하는 스프링 빈이 된다

컴포넌트 스캔 - @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으로 특정 패키지의 컴포넌트를 가져온다

 

의존성 주입 - 빈을 식별하고 와이어링 하는 과정

빈의 생명 주기와 의존성을 스프링이 관리하는  IoC가 일어난다 

 

오토와이어링 - 스프링의 특정 빈의 의존성 주입을 자동으로 해주는 과정

 

 

@Component와 @Bean 어노테이션

 

컴포넌트는 클래스 맨 위에 추가해주면 된다, 빈은 스프링 configurarion 클래스의 특정 메서드에 개발자가 작성해서 사용한다

 

일반적으로는 컴포넌트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만

비즈니스 로직이 많거나, 시큐리티등 다른 라이브러리에 대한 빈이라면  빈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게 좋다

 

'유데미 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ostConstruct, PreDestroy  (0) 2024.03.20
싱글톤, 프로토타입  (0) 2024.03.20
지연 초기화, 즉시 초기화  (0) 2024.03.20
의존성 주입  (0) 2024.02.24
Configuration , Bean, 컨테이너, 빈 연결 우선순위  (0) 2024.02.19